카테고리 없음

사내 성희롱 예방 교육 및 법적 의무

desdod 2025. 3. 24. 16:59
반응형

사내 성희롱 예방 교육 및 법적 의무

모든 사업장은 고용형태나 업종에 관계없이 성희롱 예방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할 법적 의무가 있습니다. 특히 직장 내 성희롱은 인사노무 리스크뿐 아니라 형사·민사·행정상 책임으로까지 확산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입니다.

이 글에서는 사업주가 반드시 알아야 할 성희롱 예방 교육의 법적 근거, 교육 방식, 미이행 시 제재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합니다.


1. 성희롱 예방 교육의 법적 근거

✅ 근거 법령

  • 「남녀고용평등과 일·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」 제13조
  • 동법 시행령 제4조, 제5조

✅ 의무 사항

  • 연 1회 이상 전 직원 대상 성희롱 예방 교육 실시
  • 사업장 내 게시 또는 온라인 교육도 가능
  • 교육 자료 및 이수 기록은 3년 이상 보관

2. 교육 대상 및 방식

구분 내용
교육 대상 사업장 내 모든 근로자 (정규직, 계약직, 아르바이트 포함)
교육 주기 연 1회 이상 정기 교육 필수
교육 방법 현장 집체교육, 온라인 콘텐츠, 사내 게시, 외부 위탁 교육 등 다양
면제 대상 상시근로자 10인 미만 사업장은 게시 또는 자료 배포로 대체 가능

📌 외국인 근로자, 비정규직 등도 포함되어야 하며, 다국어 교육자료 활용도 권장됩니다.


3. 교육 내용 구성 요소

  • 직장 내 성희롱의 개념 및 관련 법령
  • 성희롱 발생 시 처리 절차 및 피해자 보호 조치
  • 가해자 제재 조치 및 징계 가능성
  • 성희롱 사건 발생 시 신고체계 및 익명 보호 장치

📌 실제 사례 중심 교육이 이해도를 높이며, 직급별 맞춤형 콘텐츠 구성도 효과적입니다.


4. 미이행 시 행정처분 및 법적 책임

  • 과태료 최대 500만 원 부과 가능 (법 제39조 및 시행령 제18조)
  • 교육자료 또는 결과 미보관 시 감독 시 행정 지적 사유
  • 성희롱 발생 시 사업주의 부실 대응 또는 교육 미이행이 추가 손해배상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음
  • 근로감독 시 필수 점검 항목 중 하나로 포함

5. 사내 대응 체계 구축 팁

✔ 성희롱 예방 교육은 인사팀 또는 윤리경영부서가 주관
✔ 사내 익명 신고채널 운영 (예: 이메일, 외부 핫라인 등)
✔ 직급별 맞춤형 교육자료 및 신규 입사자 대상 별도 교육 실시
✔ 교육 이수 내역을 인사기록과 연동하여 관리


6. 결론 | 예방이 최고의 대응입니다

✔ 성희롱 예방은 단순한 법적 의무를 넘어서 건강한 조직 문화를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.
✔ 형식적인 교육을 넘어서, 직원 스스로 인식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 설계와 지속적인 조직 관리 체계가 중요합니다.
✔ 기업의 무관심은 곧 조직 리스크입니다.

💡 지속 가능한 조직은 예방에서 시작됩니다. 성희롱 예방 교육은 선택이 아닌 의무입니다.

반응형